주간농사정보 (3.27 ~ 4.2)
【농업정보】
❍ 논 타작물재배 신청
벼 적정생산으로 가격안정을 도모하기 우해 추진하는 논타작 물 재배신청을 6. 23일까지 읍면사무소를 통해 신청받고 있으니 벼 재배농가에서는 적극 참여토록 한다.(80~100만원/ha 당 지원)
❍ 콩.팥 보급종 신청
전국단위 보급종 신청기간은 3.21~4.8일 까지이므로 품종 특성을 미리 알아보고 해당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을기간내에 농업기술센터나 읍면사무소를 통해 신청하도록 한다.
【작목별 핵심기술】
1. 식량작물
≪ 벼.옥수수 ≫
❍ 벼 품종은 고품질 밥쌀용, 특수미, 가공용 등 용도에 맞는 품종 및 순도가 높고 고유특성이 잘 보존된 종자를 선택하고 신품종 재배는 적응지역, 병해충 저항성 등 재배안전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.
❍ 모 기르기에 필요한 볍씨, 상자, 상토, 소독 약제 등의 자재를 사전에 준비토록 한다
❍ 3월하순부터 옥수수 파종적기이므로 조성한 두둑위에 30cm 간격으로 하여 구멍당 2립정도를 파종토록 한다.
2. 밭작물
≪ 감자. 고구마 ≫
❍ 감자 정식적기는 4월 상순까지이며 파종 후 발아억제용 제초제를 살포하도록 한다.
❍ 씨고구마는 3월하순에서 4월하순 중에 묻고, 1차 채묘까지의 기간은 비닐하우스 안에서 전열온상은 30일, 양열온상은 40일 정도로 하여 키운다.
❍ 씨고구마로 전염되는 검은무늬병, 검은점박이병 등의 병 발생이 우려되므로 전용약제로 분의 소독 또는 47~48℃에 40분간 온탕소독을 실시한다.
3. 채 소
가. 노지채소
❍ (고추육묘) 햇빛이 부족하게 되면 과실이 달리는 마디 부위가 상승하고 꽃수가감소하며 꽃의 소질이 떨어지므로 육묘기간 중 햇빛을 충분하게 받도록 해 주어야 한다.
❍ 고추 육묘는 보온위주 관리이기 때문에 고온장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환기에 유의토록 한다.
❍ (양파.마늘) 3월하순은 잎과 줄기가 신장하는 시기이며 2차추비로 10a당 질소18kg, 칼리8kg정도를 시용토록 한다.
❍ 지속적인 노균병 등 병해충 방제로 2차 노균병 확산 등을 예방토록 한다.
나 시설채소
❍ 봄철 황사의 잦은 발생으로 시설하우스 채광량이 줄어들게되면 착과불량, 병해충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분무기등을 이용 비닐을 세척하여 투광량을 높여주도록 한다.
❍ (토마토) 시설재배 토마토 수확적기는 일반토마토는 30% 정도가 착색된 채색기에 방울토마토는 50%정도가 착색된 도색기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.
❍ 토마토 착과 증진을 위해서는 8~30℃정도의 온도를 유지하고 충분한 일조량을 확보토록 한다.
4. 과 수
≪ 묘목심기 ≫
❍ 과수 봄 심기는 뿌리가 활동하기 이전인 이른 봄에 토양이 해빙되면 즉시 심어야 하는데, 늦어도 3월 하순까지는 묘목을 심어야 뿌리활착이 좋다.
❍ 봄에 심을 경우는 뿌리가 흙과 잘 밀착되도록 하고 뿌리가 보이지않을 정도로 흙을 덮고 물을 10~20ℓ준 다음 충분히 물이 흡수된 후 복토해야 생육이 좋아진다.
❍ 심는 거리는 과종, 토양의 비옥도, 품종의 수세, 나무모양 및 전정방법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≪ 저온피해 예방시설 점검 ≫
❍ 봄철 저온피해 상습발생 지역 및 늦서리 발생이 우려되는 과원에서는 미세살수장치, 방상팬 등 저온피해 예방시설을 사전점검한다.
❍ 방상팬 설치는 과수 나무위에 4∼5m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적당하다.
5. 특용작물
더덕
❍ 파종시기는 3월 하순∼4월상순경이 적기이며 종자소요량은 10a당 3~4ℓ정도가 필요하다.
❍ 종자 발아율 향상시키려면 종자를 물에 담가 충분히 수분을 흡수시킨 뒤 젖은 종자를 0~4℃ 저온에서 5~10일정도 저장한 후 꺼내어 지베렐린 10ppm에 24시간 담갔다가 그늘에서 말린 후 파종한다.
❍ 더덕 종자는 미세하므로 모래에 3~4배 혼합하여 점파나 흩어뿌림 방식으로 파종한다.
【자료제공: 함양군농업기술센터】